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동기에 대한 행동주의적 접근 동기에 대한 행동주의적 접근 동기를 보는 첫 번째 접근으로 행동주의적 접근을 설명드리겠습니다. 행동주의로 동기를 설명한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말이 안 되는 거예요. 순수한 행동주의를 잘 알고 계시다면. 동기라는 것은 내적인 과정이어서 보이지도 않고 스키너 같은 학자들이 말할 때는 내부적인 과정을 블랙박스라는 표현을 하잖아요. 그래서 보이지도 않고 볼 수도 없고 그런 것을 연구할 수도 없기 때문에 동기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렇지만 초점은 환경을 경험함으로써 나타나는 유기체의 행동상의 변화. 변화에 초점을 두고 있고요. 특별한 사고 과정 없이, 즉 행동주의는 생각 이런 거 없잖아요. 그래서 생각 없이 행동의 힘과 방향이 결정된다. 어떤 식으로든지 인간이 행동을 하는데, 그게 무엇 때문이냐라고 했을 때 동기라.. 더보기
동기의 의미와 종류, 동기 이론 동기의 의미와 종류, 동기 이론 먼저 동기의 의미와 종류 그리고 이론을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motivation이라는 단어를 쓰는데요. 사실 motive라는 단어 자체가 '동기'라고도 씁니다. 아마 음악을 전공하시는 분들은 motive 하면 네 마디인가요? 어떤 소절을 기준으로 해서 그 음악의 기본 소재가 되는 걸로 알고 계실 텐데요. 우리 심리학에서는 motivation이라고 해서 영어로는 '~화 하다'라는 의미가 이미 들어가 있죠. 그래서 '동기화하다'라는 의미가 이미 들어가 있는 거 같아요. 라틴어 Movere라는 동사에서 어원을 볼 수 있는데요. 저는 그래서 학생들한테 설명할 때 '움직이다. 움직이게 하다. '라는 타동 사기 때문에 뭘 움직이게 할까요? '인간의 마음을 .. 더보기
케롤의 학습모형 내용과 시사점 케롤의 학습모형 내용과 시사점 케롤이라고 하는 학자는 학교 학습 모형이라고 해서 이분은 좀 수학적인 공식을 사용해서 학습의 정도를 계산하는 1차 함수의 공식을 제안했는데요. 학습자의 학습의 정도는 학습에 사용할 시간 나누기 학습에 필요한 시간. 실제로 사용한 시간 나누기 필요한 시간이라는 공식을 만들었습니다. 여기에 사용한 시간이라고 하는 것에 포함된 작은 개념들로 학습의 기회와 학습의 지속력, 두 가지를 들고 있고요. 분모에 해당하는 학습에 필요한 시간에 해당되는 요소로는 학습자의 적성 그다음에 학습자의 교수 이해력 그리고 교사가 제공한 교수의 질. 이 세 가지 요소를 들고 있어요. 일단 학습 기회라고 하는 것은 얼마나 학습에 노출되었는가? 얼마나 기회에 많이 노출되었는가를 얘기하는 거겠죠. 예를 들어.. 더보기
오스벨의 설명식 교수 이론 오스벨의 설명식 교수 이론 오스벨이라고 하는 학자인데요. 어떤 분들은 이 오스벨은 너무 옛날 이론이라 요즘은 별로 안 쓴다고 하지만, 저는 제 수업이 대부분 이런 인터넷 강의도 그렇고 설명식 수업이기 때문에 이 오스벨의 이론을 굉장히 많이 이용합니다. 오스벨의 설명식 교수 이론에서 얘기하는 중요한 개념들은 한 세 가지가 있습니다. 유의미 학습 첫 번째는 유의미 학습이에요. meaningful learning이라고 해서 아까 악스 모형에서 관련성도 얘기했지만, 모든 지식은 학습자에게 의미가 있어야지 수업도 잘 되고 학습도 잘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이 유의미 학습이라고 하는 것은 그 학습 과제가 가지고 있는 특성과 그리고 관련 정착 지식 그리고 anchored knowledge라고 하는데, 이미 가지고 있는.. 더보기
휴리스틱 발견법과 문제 해결 기법 휴리스틱 발견법과 문제 해결 기법 휴리스틱(heuristic)이라고 하는 방법입니다. 이거는 well-defined 되지 않고 ill-defined 되어서 정답이 없거나 또는 정답은 있지만 복잡한 문제인 경우에 이런 휴리스틱 발견법을 많이 씁니다. 우리가 가장 대표적으로 많이 쓰는 방법이 브레인스토밍 아시죠? 브레인에서 폭풍이 치듯이 막 쏟아내는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브레인스토밍. 그다음에 means-ends이라고 하는 수단 목표 분석. 수단과 목표를 분리해 놓고 얘기하는 거죠. 또 거꾸로 풀기. backward 방식이라고 하는데, 뒤에서부터 문제를 해결할 때 가는 방법도 있고요. 심상, 이미지를 이용하거나 유추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또 지름길 발견법이라고 해서 쇼트커트(short cut)로 문제 .. 더보기
구성주의 접근 - 문제해결 구성주의 접근 - 문제 해결 문제 해결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이 문제 해결은 사실 아까 말씀드린 것이 구성주의적인 접근으로 우리가 지금 구성주의적 맥락으로 학습에 접근을 하고 있잖아요. 구성주의적인 인지적 도제라든지 상황 학습이라든지 여러 가지 다 해결이 됩니다. 문제 해결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이 아마 유레카라는 단어 아닐까요? 아르키메데스라고 하는 수학자가 왕관의 금의 부피, 무게 이런 걸 해결하기 위해서 목욕탕에 들어갔다가 '발견했어. '라고 하면서 유레카를 외쳤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문제 해결을 설명할 때 항상 이 예화를 많이 말하는 거 같아요. 어쨌든 뭔가 해결해야 될 문제가 있어야 되는 거죠. 그러면 그 문제라는 것은 무엇인지. 문제라는 것은 정의를 할 때 현재 상태가 내가 의도한 상.. 더보기
구성주의 교육 교수법 실제 적용 방법 구성주의 교육 교수법 실제 적용 방법 구성주의를 교육적으로 적용할 때 꼭 교수법, 교수 전략은 아니지만, 어떤 방법으로 적용하는지 실제적인 몇 가지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인지적인 도제 제도 첫 번째는 인지적인 도제 제도입니다. 도제라고 하면, 여러분은 뭐가 생각나시는지 모르겠는데 저는 도제 제도하면 장인에게 찾아가서 바닥 청소부터 하면서 뭘 배우고 이런 게 생각이 나거든요. 아니면 소림사. 무술을 배우러 갔는데 무술은 안 가르쳐주고 1년 동안 청소만 시키더라. 이런 거죠. 그러니까 장인이라고 할 수 있는 어떤 전문가 옆에서 일거수일투족을 다 보는 걸 저는 도제라고 어릴 때 알고 있었는데요. 학습자가 전문가나 자신보다 유능한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을 점진적으로 숙달하는 것을 인지적.. 더보기
구성주의 학습 원리와 교수 방법 구성주의 학습 원리와 교수 방법 구성주의에서 말하는 학습 원리들을 좀 살펴볼 필요가 있겠는데요. 구성주의적으로 학습에 접근한다고 하는 것은 우리가 행동주의적으로 접근했고 인지적으로 접근했고 그리고 지금 세 번째로 구성주의적으로 접근을 하고 있는데요. 학습자들이 복잡한 문제 해결을 할 때 그 학습을 시작한 다음에 교사의 안내를 받아서 자기가 필요한 것들은 기초적으로 기술들을 발견해내고 또 배워가고 그것들을 복잡하고 실제적인 과정에 적용하고 거기에 적합한지 타당성을 검증해가면서 자기가 능동적으로 어떤 수업을 지향하는 접근법이 구성주의적 교수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구성주의에서 강조하는 학습 원리는 그러다 보니까 계속 저도 몇 번이나 강조해서 말씀드리지만, 학습이라고 하는 것이 어떤 결과적인 측면이 아니라 발.. 더보기